반응형
Part2.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(AWS)
- Pay as you go
- 소프트웨어로의 인프라
- Public Cloud / Private Cloud / Hybrid Cloud
- Iaas(Infra as a service)
- Pass(Platform as a service)
- Saas(Software as a service)
- 용량 추정 불필요, 온디맨드 조정
- 개발 환경 구축 비용, 데이터 센터 유지 비용 절감
- 멀티 Cloud (aws, 에저, tcp, 네이버, kt cloud) 서로 간 상호 연동도 가능!
- AWS 서비스
- AWS 리전
- 가용영역
- 데이터센터
- POP(상호접속위치)
- 캐시서버(근접한 서버)의 edge 서버로 활용

- AWS 네트워크 환경 구축
- VPC 배포(virtual private cloud)
- 서브넷, 라우팅 테이블, 게이트웨이 구성
- 리전별 VPC 5개 할당(기본)
- IAM
- VPC 만들고, 서브넷 만들기(실습)
- EC2 가상머신 만들기
- 키페어 생성
- 라우팅 테이블과 Internet Gateway 연결
- 서브넷과 라우팅 테이블 연결

- 다중 VPC : 하나의 계정에 여러 VPC를 두는것
- 복수 계정 : 여러 계정 별 각 VPC를 두는 것
- 모든 서브넷은 라우팅 테이블과 연결 되어야 함
- NAT 게이트웨이: 나가는 아웃바운드는 허용하나 들어오는 인바운드는 차단
- 사용자 지정 보안 그룹
- 네트워크 액세스 제어 목록 ACL : 거부/허용이 가능
- 배스천 호스트(Bastion Host) 실습
- NAT 게트웨이 생성하여 배스천 호스트에서 아웃바운드 ping 테스트

- 고가용성 시스템, SLA
- 고가용성 구현 : 리전당 2개의 가용 영역으로 시작
- Elastic Load Balancing
- 수직적 조정 ( Scale up & down - size )
- 수평적 조정 ( Scale in & out - instance 수 )
- Amazon EC2 Auto Scaling
- NAT 게이트웨이 삭제 및 웹서버 2대 설치 및 구동하기
- 로드밸런서 생성
반응형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이해(Part3. Cloud Native의 시작) (6) | 2025.03.01 |
---|---|
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이해(Part1. 네트워크 기초와 가상화) (1) | 2025.02.20 |
★ 스터디 계획 ★ (9) | 2025.02.14 |
프로그래머스 코딩 알고리즘 테스트 (0) | 2022.05.10 |
정보보안개론 : 한 권으로 배우는 핵심 보안 이론 4 (0) | 2022.02.2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