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Part1. 네트워크 기초와 가상화
AWS(06~ing)
- 2016년부터 사용되기 시작
- 코로나 시기에 인프라 클라우드 전환을 본격적으로 시작
1. 네트워크 기초
- 내부 통신 / 외부 통신
- 근거리 통신망 LAN / 광역 통신망 WAN
- 프로토콜( HTTP, HTTPS, SMTP, TCP, IP)
- 네트워크 참조 모델
- OSI 모델, OSI 7계층
- TCP / IP 모델
- CIDR( Classless Inter-Domain Routing)
- 192.168.54.0/24(network size)
- 공인 IP(외부) / 사설 IP(내부)
- 물리적인 포트와 논리적 포트 예) Oracle 1524, MysQL 3306
- 패킷이 인터넷에 전송되는 경로
기기 >> 허브 >> 스위치(L2) >> 라우터(L3) >> 인터넷 - L4/47 은 LB, L2/L3 대체 할 수는 없다
2. 가상화 Virtualization
- 하이퍼바이저(Hypervisor) : 가상화를 구현하는 소프트웨어
- 컨테이너(Container) : 경량 가상화
- 대표적인 컨테이너 기술 : Docker, Kubernetes
- 장점
- 하드웨어 사용률을 극대화
- 물리적 하드웨어 수를 줄여 자원 비용, 유지보수 비용 절감
- 테스트 및 개발 환경 제공
- 서버 가상화(1970-80) : UNIX
VMware 2001 상용화, 2006 Clod - 네티이브 하이퍼바이저 : Data Center
- 호스트 하이퍼바이저(Host OS 있음) : Vm ware workstation, Oracle virtual Box
- 네트워크 가상화(NFV) vs. SDN
3. 하이퍼바이저의 네트워크
- VirtualBox 네트워크 구성
- 호스트 전용 어댑터 모드
-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 모드
- NAT Network 네트워크 모드 : 실제 많이 사용, 공유기
- PAT 포트 포워딩
4. 원격접속과 NFS
- SSH (리눅스)와 RDP(윈도우) : 원격 접속 프로그램
- SSH의 경우 22번 포트 사용
- 서버에 SSH deamon 설치 되어 있어야 함, 클라이언트 SSH-Client 설치 해야 함
- KeyPair 은 Public / Private Key 로 Cloud 환경에서 많이 사용됨
- NFS : 리눅스 환경의 파일 공유 시스템
- NFS(리눅스, 서버 설치) 와 삼바(윈도우, 유닉스, 리눅스 등)
- AWS EFS / NAS (디렉토리 공유) - storage
- Mobaxterm SSH Keypair 생성,
- pub(서버등록) , ppk(개인키) 파일 생성
반응형
'Develo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이해(Part3. Cloud Native의 시작) (6) | 2025.03.01 |
---|---|
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이해(Part2. 클라우드 기반의 네트워크 AWS) (12) | 2025.02.21 |
★ 스터디 계획 ★ (9) | 2025.02.14 |
프로그래머스 코딩 알고리즘 테스트 (0) | 2022.05.10 |
정보보안개론 : 한 권으로 배우는 핵심 보안 이론 4 (0) | 2022.02.20 |
댓글